전체 사용자 대상 메일인줄 알고 읽지도 않았는데...

다시 못받을지 모르므로 박제를..

'잡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래프트의 레포트  (0) 2021.07.04
헤이비트 투자  (1) 2021.06.13
인베스팅 닷컴 토론 채팅방  (1) 2021.06.13
젠포트는...  (0) 2021.01.11
앞으로 공부할 투자법  (0) 2020.08.19

https://cafe.naver.com/invest79/12363

 

코스닥 지수를 이용한 스윙 트레이딩 마켓 타이밍 전략 (98)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테스트 하기 위해 systrader79님의 위 글을 참고하였다.

 

일봉테스트

 

일봉이 아닌 6시간봉으로 테스트

 

 전략은 systrader79님이 올려주신 3일간 종가 중 오늘의 종가가 최고가일 때 진입, 위 조건이 깨졌을 때 종가에 청산하는 전략이다. 매우 심플하게 9시에만 매수 매도가 일어난다. 1원 단리, 수수료, 슬리피지 0.05%를 주고 테스트하였다. 거래가 비교적 많지 않아 수수료, 슬리피지에는 크게 영향을 안받는 것 같았다(예스트레이더 사용이 익숙치 않아서 착각일지도...)

혹시 거래하는 시간에 따라 최적화가 있을까봐 6시간 봉으로도 같은 로직을 테스트 해보았고, 다른 코인들은 결과가 비교적 일정한데 리플이 가장 테스트 결과가 다양하게 나와서 리플을 기록하였다.

 이전 글에서 레버리지 ETF는

1. 장기적으로 운용하여도 소위 녹는다는 사실은 발견되지 않았다(2배 레버리지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2. 하지만 리스크는 2배가까지 지는데 비해 수익은 2배는 아니었다

는 점을 알 수 있었습니다.

 결국 수익이라는 것은 리스크 대비 수익이 중요하기 때문에, 레버리지 ETF는 위와 같은 사실만 보면 단순히 장기적으로 들고 있는 것은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생각됩니다.

 

 최일 선생님 유투브에서 보면 레버리지 ETF 상품에 대하여 논하는 부분이 나옵니다.

www.youtube.com/watch?v=FkQpQNuepFM&t=1s

 레버리지 ETF가 좋은 이유는 현금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현금은 단순이 바이엔홀드가 아닌, 부가적인 트레이딩을 통하여, 이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즉, 저점에서 사고, 어느정도 고점에서 팔 수 있게 됩니다. 일반적인 계좌에서 고점에서 팔게 되면, 포트폴리오의 베타는 당연히도 1 미만으로 떨어질텐데, 레버리지 ETF를 이용하면 포트폴리오의 베타는 1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트레이딩을 가능하게 합니다.

 여기서 두가지 의문이 생길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왜 포트폴리오 베타는 1 이상으로 유지하는가? 두번째는 저점에서 사고 고점에서 파는 것이 가능한가? 입니다.

 첫번째에 대해서는 장기적으로 주식시장이 우상향한다면, 포트폴리오의 베타는 키울수록 기대수익률이 커지게됩니다. 실제로 유투브중에 왜 펀드매니저가 시장을 비트하기 힘든지 설명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펀드매니저는 필연적으로 베타를 1 이상 키우기 힘들고, 게다가 현금을 어느정도 들고가게 되기 때문에 장기적관점에서 펀드매니저는 결국 시장에 지게될 가능성이 크다는 설명이었습니다. 이와 반대로 베타를 1보다 키울 수 있는 장치가 있다면 장기적으로 시장을 이길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베타가 너무 커도 기대수익이 낮아지는 지점이 있습니다.)

 두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결과적으론 굉장히 어려운 부분이고 프로의 영역입니다. 다만, 이를 위해서 유투브에서는 하이일드스프레드란 것을 이용합니다. 이 부분은 나중에 다시 보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