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친 파동의 주기가 대충 4년, 역사적으로 미국의 주기가 약 6년이었음을 감안하면, 한 ETF를 사고 계절이 바뀔 때 까지는 평균적으로 1년 정도 기간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만일 내가 레버리지 ETF를 이 기간 동안 들고있어야 한다면, 레버리지 ETF의 특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www.youtube.com/watch?v=VyJzRrBCaV0&t=1257s

 

www.youtube.com/watch?v=ZtJZ4EjRp1k

 

blog.naver.com/juliuschun/221955851542

 

레버리지 ETF는 장투용이 아니다? => 가능하답니다

레버리지 ETF에 대한 좋은 글이 있어 의역하고 소개합니다. 요약하자면 레버리지가 장기적으로 투자 수...

blog.naver.com

 우선 슈카님의 유투브를 보면 레버리지 ETF를 계속 들고 있는 것은 좋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추종하는 지수가 100, 90, 100, 90을 반복하면 추종하는 지수는 100에서 유지되는데 반해, 레버리지 ETF는 실제로 100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계속 상승하는 국면에서는 복리효과를 누리며 레버리지 ETF는 레버리지 배수보다 더 높은 상승률을 보이게 됩니다. 이는 하루단위로 리밸런싱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월가 아조씨는 레버리지 상품을 투자할지 말지는 추세성이 연속되어 나에게 이득이 되는 상황인지 보아야한다고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천영록 대표님의 글을 보면 미국에서 이런 2배, 3배 레버리지 상품을 초장기로 보유했을 때 CAGR을 기준으로 어떠했는지 볼 수 있습니다. 결과론적으로 보면 2배 레버리지 상품이 제일 효율적이며, 3배 레버리지는 위에서 이야기한 효과에 의하여 장기수익률이 2배 레버리지 상품보다 좋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장기적으로 2배 레버리지 상품을 들고 있다면, 1배 상품보다는 더 벌 가능성이 있지만, 2배까지의 수익률을 기대하긴 힘들다는 결론이 나오며, 리스크 대비 수익률로 보았을 때에는 그리 훌륭한 결과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섹터 1배 ETF 레버리지 ETF
금융 XLF FAS(X3)
임의소비재 XLY WANT(X3)
IT XLK TECL(X3)
여름 산업재 XLI DUSL(X3)
에너지 XLE ERX(X3)
소재 XLB  
가을 필수소비재 XLP  
헬스케어 XLV  
겨울 유틸리티 XLU UTSL(X3)
텔레콤 IYZ LTL(X2)

 

 

최일 선생님의 사계절 투자법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최일 선생님의 투자법은 우라가미 구니오(주식시장 흐름 읽는 법)의 방식과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방법과 유사하다. 다만 이들 둘은 뛰어난 관측자여서 주식시장에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했다면, 최일 선생님은 이를 좀 더 이해가능한 영역으로 논리를 붙여 설명하였으며, 논리를 기반으로 투자하기 때문에 한결 편안해 보였다. 따라서 이 방식을 좀 더 공부해 보기로 했다.

 

최일 선생님 또한 피델리티의 자료를 보고 매우 기뻐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투자를 하신다고 들어서 나도 읽어보았다.

자료이름은 A Tactical Handbook of Sector Rotations이다.

phase는 총 4가지로 구분하였는데, Early, mid, late, recession이다. 최일 선생님은 각각 봄, 여름, 가을, 겨울로 칭하셨다.

 

대표업종은 다음과 같다.

봄: 금융, 자유소비재, 테크

여름: 소재, 에너지, 산업

가을: 헬스케어, 필수소비재

겨울: 유틸리티, 텔레콤

 

 또한 각 타이밍별로 시장수익률을 보면

봄: 32%, 여름: 11%, 가을: -0.4%, 겨울: -7% 정도로 적혀있다. 시장 수익률을 놓고 보니 봄을 놓치게 된다면 수익의 70%가량을 놓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각 phase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이 있었다.

봄: 경기침체 끝나기 3개월 전 ~ 첫 9개월

여름: 금리이 인상하기 전 3개월 ~ 9개월 이후

가을: 침체기 6개월 전~ 침체기 시작

겨울: 침체기 첫 6개월

 

여기서 보면 역사적으로 확장기는 60개월, 침체기는 10개월 정도 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피델리티의 데이터에 따르면 봄을 1년, 여름을 1년, 가을 6개월, 겨울 6개월 정도로 잡고 있다. 침체기가 겨울~봄 시작 후 3개월이므로 침체기는 대략 9개월 정도로 잡고 있다. 따라서 과거의 데이터로 볼 때, 미국의 경우에는 봄, 여름, 가을은 피델리티가 잡은 기간보다 일반적으로 길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런 순환 주기를 설명하는 것으로 키친 파동이 있다. 키친 파동의 경우 대략 40개월의 순환주기를 가진 경기순환인데, 여기서 설명하는 순환 또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투자 사이클이 생기는 것과 거의 유사한 이유이다. 

 

 여하튼 4계절 투자방식으로 투자한다면 일반적으로 한 주기에 투자하는 주기는 6개월 이상이며, 한 종목을 잡고 1년 이상 투자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참고자료:

1. A Tactical Handbook of Sector Rotations

2. www.bok.or.kr/portal/cmmn/file/fileDown.do?menuNo=200436&atchFileId=KO_00000000000023675&fileSn=2

3. 키친 파동 - 위키백과

'투자공부 > ETF 투자(사계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가에 대한 판단 - 2  (0) 2021.05.17
물가에 대한 판단 - 1  (0) 2021.05.16
레버리지 ETF의 운용 - 2  (0) 2021.05.12
레버리지 ETF의 운용 - 1  (0) 2021.05.09
계절별 ETF 정리  (0) 2021.05.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