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 Morgan에서는 guide to the market을 분기별로 발행하고 있다.

내용은 차례는 주식(equities), 채권(fixed income) 등을 포함하여 투자에 관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고, 특히 전문가들이 각 자산을 볼 때 어떠한 점을 기준으로 삼고있는지 공부하기에 매우 좋다.

 위 그림은 주식 파트에서 가장 먼저 나온 그림이다.

그간 주식 고점과 가장 최근 고점인 2021년 9월 30일을 비교하고 있다.

P/E와 배당율은 주식의 밸류에이션을 나타낸다면, 10-yr Treasury는 주식에 대안 될 수 있는 상품으로 비교군으로 생각할 수 있다.

 2021년 9월은 P/E 상으로 2000년 이외에는 가장 높은 지점에 있었다. 즉, 2008년 금융위기 전보다도 PER 상으로는 더 고평가된 위치이다. 또한 배당율을 보아도 비슷하다. 2000년을 제외하고는 가장 낮은 배당율을 보이고 있다. 이는 배당수익률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도 가장 고평가 상태라는 뜻이다. 주식만 놓고 보면 상당히 고평가 구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보통의 바텀업 주식 투자자는 주식을 중점으로 보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고평가로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인다.

 반면 채권과 비교하면 이야기는 조금 달라진다. PER은 투자금액을 1년간 벌어들이는 금액으로 나눈 값이다. 이를 역수를 하면 1년간 벌어들이는 금액을 투자금액으로 나눈 값이 되는데, 이는 채권의 수익률과 비슷하게 1년간 기대할 수 있는 주식의 수익이 된다. 가령 PER 25.2는 4.0%의 수익률이라 생각할 수 있다. 각 년도별로 이 값을 구해보면, 2000년 4.0%, 2007년 6.6%, 2020년 5.2%, 2021년 4.9%이다. 채권 수익의 수익률과 비교해보면 2000년은 채권보다도 기대 수익이 36%가량 낮은 상태이다. 반면 2007년은 41%, 2020년은 226%, 2021년은 228% 더 큰 수익이 예상된다. 즉, 2000년은 안전자산인 10년 국채보다도 기대수익이 낮은 시기였으며, 2007년은 국채보다 기대수익은 컸지만 그 차이가 그리 크지 않았다. 반면 2020년과 2021년의 주식은 국채에 비해 훨씬 더 나은 수익이 기대되는 자산인 것이다. 이는 채권이 매우 비싼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어찌됐건 탑다운 투자자의 입장에서 채권과 주식의 매력도를 따졌을 때, 주식이 더 매력적인 자산이다.

 다음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주식의 벨류에이션에 대하여 나오고 있다. 현재는 주식의 벨류에이션을 측정하는 여러지표에서 고평가 상태로 나온다. P/E, CAPE, 배당율, PBR, PCR 등 모두에서 표준편차 1 이상의 고평가 상태로 나온다.

 하지만, Baa급 채권의 수익율을 주식의 PER 역수와 비교했을 때에는 현재 주식은 저평가로 나온다. 즉, 채권에 비해서는 싼 상태이다.

 위 비교에서는 주식의 EPS 성장율이나 ROE에 대한 내용이 빠져있다. ROE나 성장율이 크다면, 당연히 PER은 커질 수 있다. 현재 미국주식의 ROE는 사상최대 수준인 상태이다. 따라서 PER이 사상최대에 접근한다고 해서 반드시 고평가로 이어지진 않는다. 게다가 최근에는 주식이 조정 받고 있어, PER 수준이 표준편차 1 수준 안쪽으로 들어왔다. 다만, 현재 주식시장하락은 채권시장 수익률 상승과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즉, 상대적 매력도는 떨어지고 있을 수 있다. 작년에는 가장 낮은 등급의 high yield 채권의 수익율마저도 주식의 기대수익율보다 낮았다. 그만큼이나 채권은 비쌌고, 주식은 상대적으로 싼 자산이었다. 주식을 투자한다고 해서 주식만 보고 있을게 아니라, 연준의 긴축적 움직임과 함께 나타난 채권시장의 금리 상승을 잘 살펴봐야 2021년에도 성공적인 투자가 가능할 것 같다.

 

출처:

JP Morgan guide to the markets: https://am.jpmorgan.com/us/en/asset-management/adv/insights/market-insights/guide-to-the-markets/

S&P500의 최근 PER: https://www.wsj.com/market-data/stocks/peyields

XLE는 energy ETF로써 에너지섹터의 주가 흐름과 맞게 연동된 ETF입니다.

Holding하는 종목을 보면 Exxon Mobil과 셰브론이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두 회사 모두 정유 회사로 석유가격과 연동된 주식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석유 가격이 조정을 받고 있어서 이들 주식 또한 조정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실적 예상치는 계속 상승하고 있는 중입니다.

 

XOM 실적 예상치
CVX 실적 예상치

또한 예상되는 PER 수준도 XOM은 11.09, CVX는 11.93입니다. 워낙 원유가격에 수익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곧바로 밸류에이션에 쓸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있지만, PER 수치만 놓고 보았을 때에는 싼 구간이라 생각됩니다.

XOM 5년간 PER 추이(ychart)

따라서, 밸류에이션, 실적 모멘텀 모두에서 괜찮은 상태로 생각됩니다.

1달간 Fw12m EPS 변화가 큰 섹터는 변화가 있었다. 눈에 띄는 것은 반도체쪽의 급상승인데, 실적시즌에 서프라이즈를 낸 종목들이 대거 들어온 것이 아닌가 싶다. 건강관리 또한 순위권에 들어왔는데 헬스케어 섹터를 눈여겨봐야하지 않을까 싶다. 헬스케어 섹터의 경우 피델리티의 데이터에 따르면 여름~겨울까지 길게 들고 갈 수 있는 섹터기 때문에 더욱 매력적으로 생각된다. 반면 호텔, 레저서비스 등 코로나 리오프닝관련 주식은 순위가 내려갔고, 에너지 섹터 또한 갯수가 줄기 시작했다.

3% 이상 Fw12m 증가한 섹터의 경우 상위권은 큰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1달간 Fw12m EPS 변화 큰 100개 종목의 섹터는 저번주와 큰 변화가 없었다.

다음으로 1달간 EPS 전망치가 3%이상 증가된 종목 전체의 분포를 보았다.

눈에 띄는 것은 에너지 섹터의 비중이 확 줄었다는 점이다. 에너지 섹터의 종목 수 자체가 적거나, 에너지 섹터의 EPS 변동폭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는 건강관리 섹터, 장사,자본재 섹터가 눈에 띈다. Fidelity의 데이터에 따르면, 두 섹터 역시 봄, 여름 시기에 좋은 섹터로 볼 수 있다.

 

 최근 한달은 미국의 힘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었다. 장으로 보았을 때에는 탑다운(금리, 물가, 경기)의 힘으로 올라가던 장세에서, 실적이 이끄는 장세로 바뀌었다고 느낄 수 있었다. 테이퍼링이나 금리 인상 등의 이슈가 있어 하락할 것 처럼 보였던 시장은 실적 발표가 나자 언제 그랬냐는 듯이 떠밀려 올라가듯 올라가버렸다.

 이런 장세의 변화에 따라 포트폴리오에도 변화를 주어야 한다고 생각이 들었는데, 특히 최근에는 금융주의 상승이 눈에 띄었다. 과거 장단기금리가 축소되며, forward EPS의 추세가 꺾여 매도했었는데, 최근 이 부분이 회복되었다. 이런 변화를 눈으로 확인하고자, 일정 규모 이상의 주식 중 forward EPS 추세가 좋은 종목의 수를 통계로 내보았다.

 단연 에너지 섹터가 눈에 띈다. 최근 원자재 값의 상승에 따라 이들 섹터의 주가 상승 또한 부각되었다. 또한 봄 섹터로 분류되는 소프트웨어와 은행주가 상승했다. 특이한 점은 호텔, 레저서비스분야인데 위드코로나의 영향으로 보인다. 

'투자공부 > ETF 투자(사계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XLE etf 평가(21.11.21.)  (0) 2021.11.21
11.13. EPS 상승 섹터 기록  (0) 2021.11.13
Fidelity의 경기사이클판단과 이번주 EPS 변화  (0) 2021.10.10
자산군 - 금  (0) 2021.05.21
물가에 대한 판단 - 2  (0) 2021.05.17

Fidelity에서는 각 나라별 경기사이클을 위와 같이 판단하고 있다. 최일선생님의 사계절로 구분하자면 미국은 이제 초여름 정도에 도달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나 이번에 여러 이슈로 인해 장이 하락했을 때, 원자재 폭등과 함께 에너지 섹터는 강한 모습을 보여줬다. 특히 에너지 섹터의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투자하는 투자자들은 forward 12m EPS의 상승 등으로 인해, 에너지 섹터 주식을 들고 있었을 가능성도 컸다. 나 또한 마찬가지로 에너지 섹터를 들고 있었기 때문에 이번 하락을 큰 타격없이 지나갈 수 있었다.

 현재는 임의소비재와 IT 섹터 또한 들고 있었는데, 계절이 여름으로 변함에 따라 산업재와 소재로 ETF 변경을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Factset에서는 forward 12m EPS에 대한 자료를 매주 내주고 있다.

S&P 전체로 보았을 때에는 EPS의 증가율이 둔화된 것으로 보이나 꺾였다고 까지는 하기 힘들어 보인다.

섹터별로 살펴보면 

보라색으로 표시된 에너지 섹터의 상승이 두드러진다. EPS 증가율면에서도 그렇고, 이에 따른 주가 상승 또한 마찬가지이다. 다른 여름 섹터인 소재주, 산업재주 또한 주가가 상승하였으나, 소재주는 EPS 상승률이 S&P 평균을 초과하는 반면, 산업재주는 S&P 수준의 상승율을 보였다. 또 EPS 증가율 측면에서 초록색의 선택소비재주는 EPS 상승률은 S&P 평균정도의 상승을 보였다. 언급된 에너지, 소재, 산업재, 선택소비재 이외의 주식은 EPS 상승율이 S&P 평균에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여름 섹터의 평균 EPS 상승이 눈에 띈다.

 선택소비재의 경우 내부에서 종목을 보면, 테슬라의 forward 12m EPS 상승이 눈에 띄었다.

 

참고자료: fidelity의 fidelity business cycle 데이터

factset의 earningsinsight Factset 데이터

지난달에 마이너스가 난 것을 완전 극복한 것은 아니지만, 이번달은 플러스로 순항중에 있습니다.

금액이 얼마 되지 않아 계속 운영하고 있지만, 수익성 등의 요소때문에 다른 자산으로 트레이딩을 찾고 있습니다.

가장 유력한 것은 코인 트레이딩인데, 단순한 추세만으로도 꽤나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에 따라 유로달러 트레이딩을 계속 할지는 생각 중에 있습니다.

과거에 이 카페의 글 중에 어려운 시장에서 돈 벌지 말고 쉬운 시장에서 돈 벌 생각을 하라는 글을 스치듯 보았는데 계속 맴도는군요.

그런 시장인줄 알고 코스닥에 접근했고 실패했었는데 코인 시장도 변화의 앞에서 서있지는 않은가 생각하게 되는 때입니다.

 

평가액으로 이번달 손실을 거의 극복했었는데, 잭슨홀미팅에 당해서 결국 손실로 마무리될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중요한 발표일에 손실이 누적되는것 같은데 지난 기록을 보고 통계를 내 보아야겠습니다.

다음달에는 잘 풀리길 기대합니다.

 정해진 미래, 대세상승장이 온다

 제목만 보고 무슨 비트코인 강세론자들이 쓸만한 말을 제목으로 했나 싶었다. 하지만 내용을 보고는 생각이 좀 달라졌다. 기존에 4계절 투자법은 경제와 자산시장은 회복기, 호황기, 후퇴기, 침체기를 거치며, 이 때마다 그 시기에 맞는 자산을 보유함으로써 투자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내용이다.

 기존에 4계절 투자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약간 답답했던 부분이 있었다. 그것은 '틀림'의 문제이다. 투자를 하면서 무언가를 예측하고 틀리는 과정은 불가피하며, 당연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이 과정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최일 선생님의 경우 본인이 틀렸다고 말씀하시는 경우가 거의 없었는데, 설명력이 워낙 뛰어나고 지식이 방대하기 때문으로 이해하였다. 문제는 그것을 '내가'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인데 그것이 힘든 경우가 많았다.

 

 이 책의 투자 방식도 4계절 투자법과 마찬가지로 탑다운 방식의 투자이다. 또한 사이클을 이용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눈다. 다른점이라면 '주기'를 굉장히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주기' 곧 시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이 시기에 이러한 사건이 일어나야한다고 책에 기술하고 있다. 사실 경제를 예측함에 있어서 시간까지 적어두면서 예측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데, 그것은 그럴 경우 '틀리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즉, 이 책은 틀릴 수 있다. 그런면에서 오히려 마음이 갔다. 왜냐하면, 틀리는 시점을 대강이나마 알 수 있고, 틀린 경우 상황에 맞게 수정하면 된다. 최악은 내가 틀리고 있는지도 모르는 채, 점차 투자상황을 악화시키는 것이다.

 

 책 내용은 미국의 사이클, 한국의 사이클에 대하여 다루고 어떤 종목이나 섹터가 잘 나갈지 고르는 법까지 간단하게 다루고 있다.

이중 한국의 사이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의 사이클은 봄, 여름, 가을1, 겨울1, 가을2, 겨울2가 오며 주기는 대충 17년정도 된다.

출처 : 이야기꾼님 유투브

도식화하면 위와 같은데, 지금 우리주식시장은 대충 ⑥ 혹은 ⑦ 국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곧 아직도 오를 여지를 많이 갖고 있다는 뜻이 된다.

 과거의 우리시장에 적용해보면 아래와 같았다. (Yahoo finance에 DXY data가 1985년부터 있어서 첫 사이클에 대한 분석은 FRED를 이용하였다.)

전반적인 형태는 잘 맞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요한 것은 앞으로의 투자이다.

 

위 그림은 전반부는 2016년부터 달러인덱스와 KOSPI 정보를 그래프화한 것이다. 회색표시 이후 초록음영의 부분은 2005년에서 2016년의 그래프를 갖다붙인 것이다. 미래를 대강 예측하기 위해 과거데이터를 붙여보았다.

 이 그래프를 보면 이제 이 책의 제목이 왜 저런지에 대하여 알 수 있다.

책 저자는 현재 상황이 대세상승기를 앞둔 상황으로 생각하고 있다.

최일 선생님도 지금 시기는 봄~여름 정도의 시기라고 하는데, 두분의 의견이 일치하는 부분이다. 즉, 사이클상 현재 하락이 나오면 매수해야할 자리라는 의견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언제 틀리는가의 문제가 남아있다. 이는 미국의 달러인덱스의 추이를 보면 된다. 앞으로 달러인덱스가 전고점을 깨고 올라간다면, 이 책의 의견은 틀린 것이다. 다만 전고점을 깨지 않고 하향추세를 그린다면, 저자의 예상이 실현될 수 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의 패턴  (1) 2023.02.04
터틀의 방식  (0) 2021.07.27

 사계절 투자법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었는데, 적용에 있어서 약간의 문제가 있었습니다.

물가지표 해석에 대하여 질문했는데, 최일 선생님께서 너무 지엽적인 것에 집중하지 말라고 하시며, 시장의 반응을 근거로 답변을 하셨습니다. 저는 경기, 물가, 금리를 통하여 기준을 세우고 시장의 반응을 평가하며, 뚜렷한 기준을 갖고 싶었는데, 역시 그 경지는 멀고 멀다는 것을 깨닫는 계기였습니다.

 다행히도 미국시장은 단 한번의 조정없이 우상향중이기 떄문에, 아직 공부하며 손해를 보진 않았지만, 좀더 장기적인 계획을 두고 투자해야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직 계절은 봄~여름 사이이기 때문에 계좌는 딱히 손대지 않고 두고있습니다.

 다만, 사계절투자법에서 가장 크게 마음에 드는 부분은 SPY를 토대로 전략을 짠다는 것입니다. 개별주는 우상향 자산이라는 확신이 없는 반면, 주식시장은 우상향이라는 확신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회복기간이 길 수야 있지만...

여튼 베타를 조절하며 시장에 대응하는 전략 자체는 정말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하였고, 물려도 SPY라면 괜찮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에 따라 지수를 이용한 전략을 찾던 와중, 라오어님의 무한매수법과 포텐님의 아바타법에 대하여 알게되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코스트에버리징(물타기)를 변동성이 큰 지수를 대상으로 하는 것입니다. 물타기를 하게되면 승률은 비약적으로 상승하지만, 실패시 큰 손해를 입게됩니다. 이러한 부분을 4계절 투자법과 합쳐서 생각해보면, 코스트에버리징을 하되 봄, 여름 계절에만 시행하고, 가을 시그널이 뜰 경우 보수적으로 투자함으로써 피할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일 선생님도 하이일드 지표를 기반으로 트레이딩으로 부가적인 수익을 얻는다고 하셨는데, 비슷한 효과가 있지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잡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래프트의 레포트  (0) 2021.07.04
헤이비트 투자  (1) 2021.06.13
인베스팅 닷컴 토론 채팅방  (1) 2021.06.13
허헛!  (0) 2021.05.15
젠포트는...  (0) 2021.01.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