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루 불리는 투자자도 많이 있지만, 이들의 철학을 배우더라도 적용하기는 쉽지 않을 수 있다. 이 책은 투자의 범위를 좁힌 뒤 통계로 설명해주기 때문에 적용이 비교적 쉽다. 특히 저PER, 고배당 등의 스타일은 퀀트 전략과 연관해서 생각해보면, 쉽게 투자로 연결지을 수 있다.

 

가치주 vs 성장주
테크 버블 시기와 2014~20년 FANG 주식 및 소셜 미디어 붐 시기만 제외하면, 가치주 투자의 성과는 성장주 투자의 성과를 크게 앞질렀다.
그렇다면, 왜 모두가 가치투자 전략을 사용하지 않는 것일까?
(대기업 가치주, 해외주식, 소형주, 대기업 성장주, 채권 등 스타일과 비교 후)
가치주 투자는 20년 내내 좋은 실적을 거두었지만, 최고의 성과를 낸 건 20년 중 2년에 불과했다.
가치주가 성장주를 크게 앞서는 이유는, 성장주의 경우 하락이 한번 시작하면 가파르고 길게 이어지기 때문이다. ‘가치주 vs 성장주’ 연구의 핵심은 5년 단위로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성장주와 가치주의 비교이다. 성장주는 고PER, 가치주는 저PER주로 정의되어있다. 가치주는 최고의 수익을 주진 않았지만, 높은 수익을 꾸준히 주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었다. 

 

가치투자 ‘5년의 법칙’ 적용하기
고배당 가치주, 소형 가치주, 국제 시장 고배당 가치주, 신흥시장 고배당 가치주, 커버드콜, ESG 투자로 포트폴리오 구성

투자자들의 가장 큰 오해는, 소형주 투자가 반드시 소형 성장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소형 가치주의 실적이 훨씬 큰이유는, 소형주 실적에서는 기업 인수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수 활동은 대부분 성장주보다는 가치주에서 발생한다.

 

가치주를 기반으로, 대형주, 소형주, 해외주식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여기서 소형주의 높은 수익력에 대한 설명이 재미있었다. 소형주 투자의 수익은 기업 인수가 크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실제 한국에서도 이런 영향이 큰진 알 수 없지만, 백테스트 상으로는 한국 소형주에는 알파가 존재했다. 젠포트 등의 백테스트 툴을 이용했을 때, 조건에 따라 다르겠지만,시총이 작다는 요인은 PER가 낮다는 요인보다 더 크게 작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해진 미래, 대세상승장이 온다.  (0) 2021.08.28
터틀의 방식  (0) 2021.07.27

 

https://www.federalreserve.gov/monetarypolicy/fomc.htm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The Federal Reserve Board of Governors in Washington DC.

www.federalreserve.gov

FOMC 회의

 

https://ko.tradingeconomics.com/

 

경제 지표 | KO | TRADINGECONOMICS.COM

남아프리카 공화국 9.7900 0.050 0.05%

ko.tradingeconomics.com

물가 지수(미국외 포함)

 

https://fred.stlouisfed.org/

 

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 FRED | St. Louis Fed

Welcome to FRED, your trusted source for economic data since 1991. Download, graph, and track 819,000 US and international time series from 110 sources. Welcome to FRED, your trusted source for economic data since 1991. Download, graph, and track 819,000 U

fred.stlouisfed.org

(연간 변화율: EDIT GRAPH → Units(Index → Percent Change from Year Ago))

물가 지수

  • Consumer Price Index for All Urban Consumers: All Items in U.S. City Average
  • Consumer Price Index for All Urban Consumers: All Items Less Food and Energy in U.S. City Average
  •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s Excluding Food and Energy (Chain-Type Price Index)
  • 10-Year Breakeven Inflation Rate 

경기

  • S&P/Case-Shiller U.S. National Home Price Index(부동산)
  • Leading Indicators OECD: Leading indicators: CLI: Normalised for the United States

금리

  • ICE BofA US High Yield Index Option-Adjusted Spread
  • ICE BofA US High Yield Index Effective Yield
  • ICE BofA High Yield Emerging Markets Corporate Plus Index Effective Yield
    ICE BofA High Yield Emerging Markets Corporate Plus Index Option-Adjusted Spread
  • Market Yield on U.S. Treasury Securities at 10-Year Constant Maturity, Quoted on an Investment Basis, Inflation-Indexed

 

 

https://www.ismworld.org/supply-management-news-and-reports/reports/ism-report-on-business/

ISM 제조업, 서비스 PMI 세부지표 및 인터뷰

 

 

https://data.oecd.org/leadind/composite-leading-indicator-cli.htm

 

Leading indicators - Composite leading indicator (CLI) - OECD Data

Find, compare and share OECD data by indicator.

data.oecd.org

OECD 경기 선행지수(CLI)

 

 

https://www.newyorkfed.org/microeconomics/sce#/inflexp-1

뉴욕 연은 기대 인플레이션

 

 

http://www.bok.or.kr/portal/main/contents.do?menuNo=200065 

 

| 발간주기별 검색 | 간행물 | 조사 · 연구 | 한국은행 홈페이지

 

www.bok.or.kr

M2 등 각나라별 지표 비교

(한국은행  조사연구  간행물  발간주기별 검색  해외경제 포커스  통계 파일)

 

https://www.kcif.or.kr/main.do

 

국제금융센터

 

www.kcif.or.kr

국제금융속보

파월의장은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2%로 낮추겠다는 목표하에 통화정책을 펼치고 있다. 우측은 여기에 영향을 주는 CPI 변화와 구성요소이다. 22년 초까지는 주로 에너지(파란색), 상품(초록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22년 이후부터는 이들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래 그래프에 따르면 Food(회색) 또한 이후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주거비(보라색)와, 주거비를 제외한 서비스물가(남색)는 아직도 크기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주거비를 살펴보면, 부동산 지표 중 중요도가 가장 높은 Case-Shiller 주택가격지수로 예측해보면 추후 꺾일 가능성이 크다.

남은 것은 서비스 물가인데 주로 인건비가 영향력이 크다. 현재 노동시장은 노동자가 크게 우위에 있다. 

실업자 수당 빈 일자리 수가 1.7개로, 역사상으로 높은 수준에 있다. 따라서 노동자는 이직을 통해, 혹은 기존의 직장을 통해 임금 인상을 유도할 수 있으며, 실업율은 역사적 저점에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 부분이 해결되지 않으면 임금 인상으로 인한 물가 상승을 저해하기 힘들며, 물가 2%라는 연은의 목표는 오랜기간 이루어지기 힘들어진다. 이는 곧 지금과 같은 긴축이 오랜기간 이어질 수 있음을 뜻한다.

 여기에 대한 원인으로 코로나로 인한 삶의 방식, 조기 퇴직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실제로 노동참여율이 코로나 이후 회복되지 않고 있다. 주된 이유는 55세 이상에서 노동참여율이 회복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곧 코로나로 인한 영향이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났음을 뜻한다. 아마도 고령층에서 코로나로 인한 건강에 대한 염려, 가치관 변화, 조기 퇴직 등이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21, 22년을 거치면서 전혀 회복되지 않았고, 특히 22년 자산 가격 하락에 의한 부의 효과에도 반응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의 노동참여율이 회복될지는 미지수로 생각된다.

 내 생각을 정리하면, 공급측 문제로 노동 수급불균형이 생긴 것으로 생각되고, 연준은 긴축을 통해 (금리 인상 → 기업의 투자 부진 인력 감소(노동 수요 감소) 실업률 증가, 임금 증가율 감소 →  물가 하락) 으로 풀어야 하는데, 꽤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생각된다.

 

출처: 23.1. 가이드 투 더 마켓

Fred

+ Recent posts